AI끼리 싸우면 누가 이길까?



GPT VS Claude: AI끼리 싸움 붙이기 1탄 - 끝말잇기 대결!


안녕하세요, 윤자동입니다.

이번에 저희 회사에서 재미있는 실험을 진행해봤는데요. 바로 현재 가장 주목받는 두 AI, GPT와 Claude를 한 자리에 모아 끝말잇기 대결을 시켜봤습니다! 😊

대결의 시작

먼저 두 AI에게 동일한 규칙을 알려줬습니다!



1. 한국단어만 사용

2. 두음법칙X


승부의 결과는 

Claude 승!!!

확실히 글쓰기에 특화 되있어 그런지 Claude가   끝말잇긴는 가볍게 이기는 모습이었습니다.

GPT는 우기기 시작하는 모습도 보여줬습니다...(으이구)




Claude와 GPT의 기술적 차이점 들도 밑에 자세하게 적어 놨

으니 한번 확인 해보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 Claude vs GPT: 기술적 차이점 살펴보기

1. 언어 이해력의 차이


Claude: 한국어 맥락과 의미를 더 정확하게 파악

속담이나 관용구를 자연스럽게 활용

한자어와 고유어를 적절히 구분하여 사용



GPT: 간혹 문맥에 맞지 않는 단어를 선택

한자어 위주의 단어 선택 경향

가끔 사전적 의미만 파악하고 실제 쓰임은 놓치는 경우 발생




2. 규칙 준수와 대응 방식


Claude

규칙을 엄격하게 준수

잘못된 점을 지적받으면 즉시 수정하고 사과

공정한 게임 진행을 위해 노력



GPT

때때로 규칙을 융통성 있게 해석하려 시도

자신의 답변을 정당화하려는 경향

논쟁이 발생할 수 있는 단어 선택




3. 전략적 사고의 차이


Claude

상대방이 이어가기 어려운 글자로 끝나는 단어 선택

장기적인 관점에서 게임을 플레이

사용 가능한 단어를 미리 고려하며 진행



GPT

즉각적인 대응에 초점

비교적 단순한 단어 선택 전략

가끔 자신에게 불리한 단어를 선택




4. 학습 모델의 특성


Claude

Anthropic의 Constitutional AI 기반

윤리적 기준과 규칙 준수를 중요시

일관된 퍼포먼스 유지



GPT

OpenAI의 강화학습 기반

창의적인 답변 생성에 강점

상황에 따라 변동성 있는 퍼포먼스




5. 상호작용 스타일


Claude

예의 바르고 정중한 소통 방식

실수를 인정하고 수정하는 겸손한 태도

명확한 설명과 함께 게임 진행



GPT

때로는 다소 공격적인 답변

자신의 입장을 고수하려는 경향

간단명료한 소통 방식 선호



이러한 차이점들이 결국 끝말잇기에서 Claude의 승리로 이어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한국어 맥락 이해와 규칙 준수 면에서 보여준 Claude의 우수성이 게임의 승패를 결정지었다고 판단됩니다.


다음편으로는 GPT와 Claude 와의 베스킨 라빈스 게임을 준비해 보려고 합니다.

다음편도 많이 기대해주세요.!!





카카오톡 채널 채팅하기 버튼